본문 바로가기

Review/Books

가상 면접 사례로 배우는 대규모 시스템 설계 기초

반응형

 

목차

1장 사용자 수에 따른 규모 확장성
2장 개략적인규모추정
3장 시스템 설계 면접 공략법
4장 처리율제한장치의설계
5장 안정해시설계
6장 키-값저장소설계
7장 분산시스템을위한유일 ID 생성기설계
8장 URL 단축기설계
9장 웹크롤러설계
10장 알림시스템설계
11장 뉴스피드시스템설계
12장 채팅시스템설계
13장 검색어자동완성시스템
14장 유튜브설계
15장 구글드라이브설계
16장 배움은계속된다

 

추천 독자

IT 계열에서 일을 하면서 모든 서비스를 경험해 보기에는 한계가 있지만,

다른 서비스들은 어떻게 굴러갈지 서비스에 대한 설계 및 아키텍처가 궁금한 사람.

개발자, 인프라 엔지니어, 학생 등 모두에게 나쁘지 않은 책으로 생각된다.

 

책소개

 사실 요즘은 웬만한 정보들은 구글, GPT 등을 이용하면 거의 모든 정보들을 찾아볼 수 있다.

이 책에서 소개하는 것과 같이, 서비스들의 아키텍처가 궁금하다면 AWS 참조 아키텍처 예제 및 모범 사례, 유튜브 등 여러 가지 사이트들을 참고하면 내가 궁금했던 서비스들의 아키텍처 구조를 웬만해서는 찾아볼 수 있다.

 

 하지만 이 책에서는 해당 서비스에 대한 구조에 대한 설명이 끝이 아니라,

실제로 면접을 본다는 가정하에,

서비스에 대한 상황을 고려하여 시스템을 설계하고,

서비스를 하면서 발생할 수 있는 장애에 대비하여 시스템을 설계하는 법,

또 서비스를 운영하면서 테이블, 서비스의 흐름, 노하우 까지도 담겨있고, 

더 나아가 현재 구상했던 서비스에 대해서 앞으로 개선해 가면 좋은 점까지도 상세하게 설명하고 있다.

 

 전반적인 시스템 설계 구조에 대한 내용이지만,

서비스를 하면서 일어날 수 있는 상황부터, 서비스에 맞는 설계, 서비스 기술 등 서비스를 구축할 때 한 번쯤은 짚어보고 넘어가야 할 부분들이 상세하게 들어있어, 새로운 서비스를 시작해야 할 때 시야를 넓힐 수 있어 엔지니어뿐만 아니라 개발자 그리고 학생까지도 한 번쯤 읽어두면 좋은 책으로 생각된다.

 

해당 책은 1권으로 2권도 최근에 나와 읽어볼 예정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