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RDS를 사용하다보면 튜닝 등을 위해 파라미터 그룹의 설정을 변경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합니다.
파라미터 그룹의 설정을 변경 시 일부 항목은 바로 적용이 되며, 일부 항목은 RDS의 리부팅을 필요로 하는 항목 있는데 이 항목들은 아래와 같이 나눠 집니다.
DB 인스턴스를 수동으로 재부팅해야 적용 되는 경우
- 현재 파라미터 그룹을 다른 파라미터 그룹으로 교체하는 경우.
- 사용자 지정 파라미터 그룹에서 정적(Static) 파라미터를 수정하고 저장하는 경우.
DB 인스턴스의 재부팅 없이 바로 적용되는 경우
- 사용자 지정 파라미터 그룹에서 동적(Dynamic) 파라미터를 수정하는 경우.
예를들어 RDS의 general log를 켜야할 경우 파라미터 그룹에서 general_log의 설정의 적용 유형 부분을 확인해 보면 Dynamic으로 동적 파라미터인 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재부팅이 필요 없이 바로 적용이 됩니다.
반면에 적용 유형이 Static인 back_log를 변경하게 될 경우 아래와 같이 RDS 구성에서 파라미터 그룹이 적용 중으로 나오며, 체크 표시가 없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이 때 RDS를 수동으로 재부팅하면 정상적으로 값이 적용 됩니다.
참고자료
반응형
'Newb >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S3 미리 서명된 URL(Pre-signed url) 사용하기 (0) | 2023.08.28 |
---|---|
AWS Private Zone에서 NAT Instance로 외부와 통신하기 (0) | 2023.05.22 |
AWS 계정 MFA 분실 시 대처방법 그리고 공증.. (1) | 2022.04.25 |
EC2 인스턴스 유형 이름 네이밍 (0) | 2022.04.20 |
운영중인 EC2 인스턴스 재부팅 없이 디스크 용량 확장하기 (0) | 2022.04.19 |